활동소식
전체 게시물:
221건
6/37
페이지
[특강후기] 시설사회: 시설이 자연스럽고, 시설을 요구하고, 시설과 같은 사회
지난 3월 29일 열린 특강 "김재형 교수(한국방송통신대 문화교양학과) 의 시설사회 진단"에 참여한 자원활동가 배성윤 학생의 후기입니다. ---------------------------------------------------------------------------------------------- 배성윤(서울대 국어국문학과 4학년) 시설사회=‘정상/비정상’ 판별의 연속 우리가 살아가는 지금 이 시대…
[소개합니다]아그작아그작 쪽쪽쪽 츠빗츠빗츠빗
진실의힘 창립 때부터 손과 발, 온 마음으로 후원하고 있는 유현미 회원이 겨울, 봄, 여름, 가을, 다시 겨울로 이어지는 도시 텃밭 농사 이야기를 텃밭 시 그림책 <아그작아그작 쪽 쪽 쪽 츠빗 츠빗 츠빗>에 담아 냈습니다. 유현미 회원님으로부터 텃밭 농사로 책을 지은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
[칼럼] 좋은 생각이 성공한 정책이 되지 못한 이유:2022년 칠레 개헌안 부결의 의미
박윤주 교수 (계명대학교 스페인어중남미학과) 2019년부터 2020년에 걸친 칠레의 사회개혁 요구 시위의 결말은 2020년 10월 26일 국민투표로 개헌이 결정되면서 해피엔딩인 듯 보였다. 770만 명의 유권자가 투표에 참여하였고, 78%가 개헌에 찬성했다. 더 놀라운 것은 누가 개헌의 주체가 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국민의 결정이었다. 기존 국회의원이 제헌의회의 50%를 구성하는 안은 부결되었고, 새로운 제헌의회를 구성하는 안…
강의 [불온의 시대]를 듣고나서
장미나 (자원활동가, 고려대 물리학과) 불온(不穩)의 의미는 사전적으로 ‘온당하지 않음’ 혹은 ‘사상이나 태도 따위가 통치 권력이나 체제에 순응하지 않고 맞서는 성질이 있음’입니다. 초록 검색창에 ‘불온’이라는 단어를 검색해보면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위와 같은 사전적 의미와 ‘불온 서적’, ‘사상 불온혐의’와 같은 단어들이었습니다. 본 강의의 연사이자 “불온의 시대”의 저자인 임유경 교수는 불온이라는 단어가 정부의 관제…
많은 ‘그럼에도’를 유념하며
배성윤 (서울대 국문학과 3학년) 사실 그 너머의 진실 소설을 규정하는 완전무결한 정의는 있을 순 없겠지만, 소설의 특징을 꼽아본다면 흔히들 허구성을 가장 먼저 떠올릴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소설이란 꾸며내거나 지어낸 이야기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소설의 허구성은 무엇보다도 진실을 이야기하기 위해서 그 목적이 있습니다. 소설은 진실을 말하기 위해서 허구의 세계를 끌어들입니다. 이 얼마나 모순적인 말인가요. 하지만 온갖 갈…
로힝야가 ‘스스로 집단학살을 기록한다’는 것의 의미 그리고 이 과정을 ‘우리가 함께 한다’는 것의 의미
사단법인 아디 코로나 이후 2년 6개월만에 출장을 다녀온 방글라데시 로힝야 캠프. 지난 5년간 함께 해 온 반가운 얼굴을 보니 오랜 친구를 만나는 느낌이다. “잊지 않고 찾아와줘서 고맙다”는 인사를 건네는 그들의 얼굴에는 모처럼 수줍은 미소가 만연하다. 가족의 안부를 묻고 캠프 생활을 들었다. 집단학살에서 살아남은 이들이 지내는 캠프에는 철장이 둘러쳐졌다. 출입 통제까지 받다 보니 난민들은 캠프가 열린 감옥이나 다름없다며, …
검색하기
찾으시는 내용이 있나요? 검색어를 입력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