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소식
전체 게시물:
221건
7/37
페이지
헌법으로 신자유주의를 극복하려는 칠레의 실험 -칠레의 사회개혁 요구 시위와 개헌 결정 -
박윤주 교수 (계명대 스페인어중남미학과) 3회에 걸쳐 칠레의 사회 개혁 요구 시위와 그 뒤를 잇는 개헌의 노력을 소개하고자 한다. 칠레의 사례를 살펴보면 지금 우리가 처한 현실을 이해하고, 극복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기 때문이다. 코로나19가 세계적으로 창궐하던 2019년 겨울, 남반구에 있는 칠레는 여름이었다. 그리고 칠레의 여름은 코로나19 대유행에 대한 공포가 아닌, 칠레 사회의 모순과 오랜 시간…
끝나지 않은 피해자들의 고통, 형제복지원
-형제복지원 인권침해 사건에 대한 진화위 조사결과에 부쳐- “공권력이 직·간접적으로, 부랑인으로 칭한 사람들을 형제복지원에 강제수용해 강제노역, 폭행, 가혹행위, 사망, 실종 등 중대한 인권침해가 있었음을 확인했다.” “국가는 형제복지원 인권침해 문제에 대한 진정을 묵살했고, 사실을 인지했으나 조치하지 않았으며, 1987년 형제복지원 사건을 축소 왜곡해 실체적 사실관계에 따른 합당한 법적 처리가 이뤄지지 않은 사실이 확인되었…
[지원사업은 진행중] ‘월남으로 간 동창생’을 찾아서
석미화(평화활동가, 아카이브 평화기억 대표) 이 연구는 한 장의 포스트잇에서 시작되었다. 노란색 포스트잇에는 열 명의 이름과 생년월일, 계급, 소속 부대가 빼곡히 적혀 있었는데, 그들 모두는 같은 해 같은 국민학교(이 글에서는 그 시대에 맞춰 ‘초등학교’가 아닌 ‘국민학교’로 쓴다)를 다녔다. 이 동창생들에게는 남들과 다른 특별한 삶의 궤적이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청년 시절 전쟁을 경험한 것이었다. 전북 익산시 금마면에 위…
[회원 소개] "나무를 돌보듯" 조경사 민원식 회원님
오랫동안 진실의 힘을 후원하는 민원식 회원을 만났습니다. 진실의 힘 사무실과 가까운 한국은행에서 일하시는데요. 사무실로 찾아 갔을 때 초록 식물들이 가득한 사무실 안을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그는 도시 한복판에서 초록 생명을 키우고 돌보고 살리는 일을 하는 조경사입니다. 한국은행에 있는 모든 식물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에서 일한 지는 10여년이 넘었습니다. 민원식님은 월급의 반을 후원금으로 냅니다. 월드비전, 그린피스…
[서평] 이 책을 읽고 함께 이야기하는 것으로도 세상은 달라집니다!
오현주( 단원고 장준형군 어머니) 추석 연휴를 이틀 앞두고 사회적 참사 특별위원회(이하 참사위) 종합보고서가 도착했다. 상자에 담긴 8권의 책자들 옆에서 우리는 차례 음식을 만들었다. 차례상의 주인은 이제 26살이 된 큰 아들이고 나의 남편과 아이들은 세월호 유가족이다. 3년 6개월에 걸친 조사 후에 사참위는 종료되었고 종합보고서가 발간되었지만 유가족의 일상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어쨌든 아이는 다시 돌아올 수 없으니까. …
[칼럼] 왜 지금 칠레의 개헌인가?
앞으로 3회에 걸쳐 진실의 힘 뉴스레터를 통하여 칠레의 사회 개혁 요구 시위와 그 뒤를 잇는 개헌의 노력을 소개하고자 한다. 칠레의 사례를 잘 살펴보면 지금 우리가 처한 현실을 이해하고 심지어 극복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기 때문이다. 물론 지금 뜬금없이 왜 칠레의 개헌 시도를 살펴보아야 하는가에 대하여 의아한 마음이 들 수도 있다. 칠레는 너무 멀리 있는 나라이고, 그 생경한 국가에서 일어나는 일이 내…
검색하기
찾으시는 내용이 있나요? 검색어를 입력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