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를 배반한 판사들 』

‘판사는 과연 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편에 서 있나?’

2024년 12월 3일의 갑작스러운 비상계엄 선포 이후 벌어진 일련의 사태를 보면서 많은 이가 던진 질문이다. 무장한 군인들이 국회에 들어가는 장면을 모두가 지켜봤는데도 이해하기 힘들 만큼 지연된 파면 선고, 수십 년에 걸친 법 집행의 관행을 뒤집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구속 취소 등을 보며 우리는 새삼스레 이 질문을 곱씹게 된다.

『정의를 배반한 판사들』은 이런 의문을 품은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법사회학, 행정법, 법수사학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법치주의와 사법부의 역할을 연구해온 저자 한스 페터 그라베르는 나치 독일,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아르헨티나·브라질·칠레의 군사독재 정권, 나치 점령 시기의 유럽 국가들, 자유주의 사회인 미국과 영국 등 여러 나라의 사례를 통해 ‘정의를 배반한 판사들’의 실상을 탐구한다.

역자 정연순 변호사는 국가인권위원회 차별시정본부장,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회장을 역임하는 등 다양한 실천을 통해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실현하는 데 기여해온 법률가로, 그 과정에서 해온 고민과 전문성을 살려 책에서 다룬 다양한 사례와 법철학적 쟁점을 정확하고도 읽기 쉽게 번역했다.

info 전체 게시물: 12건
1/2 페이지

정의를 배반한 판사들

account_circle 한스 페터 그라베르 schedule 2025-04-25
“이 책은 점령 상황을 포함한 독재와 권위주의 통치하의 ‘서구’ 국가들에서 판사들의 역할과 행동을 다룬다. 이 책은 더 넓은 독자층에 읽힐 가치가 있다. 특히 법률 제정자들, 판사들, 그리고 새로운 권위주의적 억압의 사례를 예방하는 데 관심 있는 모든 사람에게 중요한 책이며, 사회가 실존적 위협에 처했을 때 판사가 수행하는 역할에 관심 있는 모든 사람이 흥미롭게 읽을 것이다.” - 테리에 에이나르센 베르겐대학교 법학부 교수 …

장애, 시설을 나서다 - 공존을 위한 탈시설 이야기

account_circle 김남희, 김유미, 김정하, 변재원, 이주언, 조아라, 최태현, 최한별 schedule 2025-03-04
“오랫동안 시설은 불가피한 대안처럼 보였다. 시설에서 장애인들은 자유를 빼앗기고 ‘인간답게’ 실패하고 모험하며 살아갈 기회를 차단당했다. 사회는 이 사실을 알면서도 애써 외면하고 침묵했다. 시설 너머의 사회는 상상하기 어려웠다. 이 책은 마치 미래에서 온 편지처럼, 시설 너머 세계의 소식을 전한다. 탈시설 당사자와 활동가들이 일찍부터 만들어온 미래가 이 안에 있다. 그곳에서 장애를 만드는 차별의 구조가 허물어진 일상을 만난다…

일본의 전쟁범죄

account_circle 김재명 schedule 2024-11-28
“『일본의 전쟁범죄』는 조금 더 빨리 출간되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들 정도로 오늘 우리 현실에 꼭 필요한 책이다. 2004년 처음 등장하여 한때 반짝했다 사라졌던 뉴라이트들이 친일 정권의 광기 어린 인사로 교육과 역사와 관련된 주요 국가기관을 장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전쟁범죄』는 일본의 식민 지배와 전쟁 수행 과정에서 어떤 범죄가 저질러졌는지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한홍구 성공회대 석좌교수, 한국현대사) 일본은 세…

히틀러의 법률가들

account_circle 헤린어 파우어-스투더 지음 schedule 2024-10-28
“민주주의 규범의 전복과 제도의 파괴에 팔을 걷고 나선 나치 법률가들의 화려한 이력서” (이동기, 강원대 대학원 평화학과 교수) “드디어 나치 법에 관한 믿을 만한 입문서가 나왔다” (옌스 메르헨리치, 런던정치경제대학 국제연구센터 소장) “복잡한 역사적 현실에 우리의 주의를 환기함으로써 나치 법에 대한 법학적 논의에 엄청나게 가치 있는 기여를 했다” (라르스 빈크스, 케임브리지대학 법학 교수) 바이마르공화국 같은 민주체제가 …

세월호, 다시 쓴 그날의 기록

account_circle 진실의 힘 세월호 기록팀(김성수 박상은 이정일 전치형 조용환) schedule 2024-04-10
2014년 4월 16일, 절망적인 그날 ‘그날’을 만들어낸 원인과 ‘그날’의 실패에 집중한 부끄럽고 참담한 실패의 기록! 10년 동안 쌓인 기록을 토대로 그날로 돌아가서 쓴 『세월호, 다시 쓴 그날의 기록』 다시 ‘그날’이 돌아왔다. 10년이 흐른 지금 우리의 울음은, 약속은, 다짐은 어떻게 됐는가? 그동안 우리는 세월호 참사의 진상에 얼마나 다가갔는가? 그동안 드러난 참사의 진상은 우리 사회를 생명과 안전의 가치를 지향하는…

거꾸로 매달아도 사는 게 좋다

account_circle 임봉택 schedule 2023-12-01
진실의 힘 설립자 임봉택 선생이 쓴 삶의 이야기

야만의 시간-반국가단체 만들기에 희생된 한통련의 50년

account_circle 김종철 schedule 2023-08-15
'독재정권의 희생양' 재일 민주단체 '한통련' 민주 조국에서도 외면받는 억울한 이야기

역사에서 기억으로

account_circle 서강대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CGS (임지현, 정 면, 김정한 외) schedule 2022-08-15
기억되지 못한 기억과 이름을 어떻게 불러낼 것인가? 과거와 국가를 넘어, 기억의 연대와 책임을 생각한다.

원고 투고

원고의 형태, 내용에 어떤 제한도 없습니다. 엄연히 존재하지만 그동안 말해지지 않은 사람과 사건에 관한 이야기라면 무엇이든 가능합니다.

이메일로 간단한 개요, 취지, 연락처 등을 보내주세요. 검토 후 2~3주 내로 연락드리겠습니다.

mail truth@truthfoundation.or.kr

검색하기

찾으시는 내용이 있나요? 검색어를 입력해보세요.